AI 실전활용 / / 2021. 12. 12. 04:46

[시사금융용어] 스테이킹(Staking)이란? 정의, 장점과 참여 방법

반응형

스테이킹(Staking)이란?


스테이킹은 자신이 보유한 가상화폐의 일정 지분을 고정하여 네트워크의 운영과 검증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가상화폐의 가격 변동과 관계없이 일정 기간 동안 예치된 자산에 대해 보상을 받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주로 이루어집니다. 스테이킹을 통해 사용자는 가상화폐의 유동성을 고정하면서 동시에 플랫폼의 운영에 기여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추가 가상화폐를 획득하게 됩니다.

 

 

 

 

스테이킹이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스테이킹은 PoS 알고리즘을 채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이오스(EOS), 테조스(Tezos), 코스모스(ATOM) 등이 있습니다. 이들 블록체인은 스테이킹을 통해 가상화폐 소유자가 일정량의 자산을 예치하면, 예치자가 기여한 지분율에 비례해 의사결정 권한을 부여하고, 네트워크 운영에 참여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이고,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의 장점과 단점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스테이킹은 중요한 장점이 있습니다. 시장에 풀린 유동성을 동결하여, 시세 조정이 용이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투자자는 스테이킹을 통해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테이킹을 위해 일정 지분량을 고정하는 부담이 있으며, 이는 투자자에게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

 

스테이킹을 위한 노드 운영


스테이킹을 시작하려면, 투자자는 24시간 노드를 운영하고 블록 생성 및 검증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직접 진행하기 번거롭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은 가상화폐 거래소지갑 업체를 통해 스테이킹을 대행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하고, 보다 쉽게 스테이킹을 활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예치와 스테이킹의 차이점


예치와 스테이킹은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엄연히 다른 개념입니다. 종종 언론 보도나 업계에서 혼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두 개념은 그 방식과 발생하는 이자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예치서비스 사업자가 대차나 차익 거래를 통해 이자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이자가 순수한 블록체인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스테이킹과 구분됩니다. 반면, 스테이킹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암호화폐를 맡긴 대가로 보상을 지급받는 시스템입니다.

스테이킹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또는 위임지분증명(DPoS, Delegated Proof of Stake)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블록체인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 이더리움에는 스테이킹이 존재하지 않지만, 이더리움 2.0에서는 스테이킹 기능이 도입되었습니다.

 

예치 상품이란?

예치 상품은 투자자가 자산을 일정 기간 동안 맡기고, 이에 대한 이자를 얻을 수 있는 금융 상품입니다. 예치 이자는 주로 서비스 사업자가 대차 거래나 차익 거래 등을 통해 충당합니다. 대표적인 예치 상품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는 빗썸이 있습니다.

빗썸은 넥서스지, 오토드래곤, 블록워터테크놀로지, 볼트러스트 등 다양한 업체와 협력하여 예치 상품을 제공합니다. 빗썸은 중개업자가 아닌 플랫폼 사업자 역할을 하며, 2020년 4월 1차 상품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4차까지 예치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치 상품의 종류와 차수

예치 가능한 상품은 차수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어 24차 상품에서는 BTC(비트코인), **ETH(이더리움)**만 취급하고, 19차 상품에서는 BTC, ETH, XRP(리플), EOS(이오스), TRX(트론) 등의 다양한 암호화폐를 예치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이트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2576)

 

www.coindeskkorea.com

 

 

카이카스 Kaikas 지갑 생성하는 법ㅣ클레이스왑 필수! 왕초보 5분 완성

스테이킹을 통해 이자를 받기 위해서는 '지갑'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클레이스왑하는데 필수이기 때문이지요. 지갑 종류로는 카이카스, 카카오톡의 클립, 디센트 등이 있는데 빠른 거래를 위해

hongjadoo.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